기본 컴포넌트 설치
2. 오픈스택 서버 구축(root에서 진행)
가. Interface 설정
- ens160의 용도
- vxlan 패킷이 나가기 위한 Tunnel 네트워크
- 오픈스택 설치 및 SSH를 위한 네트워크
- 노드끼리의 통신을 위한 management IP
- ens192의 용도
- Provider 네트워크
1) 컨트롤러 노드 인터페이스 설정
vi /etc/netplan/00-installer-config.yaml

- ens192는 22대역대 provider 네트워크를 만들기 위한 path-through
- ip는 unnumbered로 설정( 참고 문서 : 오픈스택 셀프서비스 공식문서 )
2) 컴퓨트 노드 인터페이스 설정
vi /etc/netplan/00-installer-config.yaml

* 컨트롤러 노드와 동일 구성
나. 기초 설정
1) hosts 파일 편집
vi /etc/hosts

2) chrony 설정
* 컨트롤러 노드에서 진행
apt update
apt install chrony
vi /etc/chrony/chrony.conf

service chrony restart
* 컴퓨트 노드에서 진행
apt update
apt install chrony
vi /etc/chrony/chrony.conf

service chrony restart
3) 오픈스택 Release 저장소 추가
컨트롤러, 컴퓨트 노드에서 동시 진행
add-apt-repository cloud-archive:zed
4) OpenStack CLI 다운로드
컨트롤러 노드에서 진행
apt install python3-openstackclient
5) Database 다운로드
컨트롤러 노드에서 진행
apt install mariadb-server python3-pymysql
vi /etc/mysql/mariadb.conf.d/99-openstack.cnf
붙여넣기
[mysqld]
bind-address =컨트롤러 노드의 IP
default-storage-engine = innodb
innodb_file_per_table = on
max_connections = 4096
collation-server = utf8_general_ci
character-set-server = utf8

service mysql restart
6) Message Queue 다운로드
컨트롤러 노드에서 진행
apt install rabbitmq-server
rabbitmqctl add_user openstack RABBIT_PASS
rabbitmqctl set_permissions openstack ".*" ".*" ".*"
7) Memcached 다운로드
apt install memcached python3-memcache
vi /etc/memcached.conf
* 기존의 -l 127.0.0.1 부분을 컨트롤러 노드의 ip로 변경

service memcached restart
8) etcd 다운로드
apt install etcd
vi /etc/default/etcd
ETCD_NAME="controller"
ETCD_DATA_DIR="/var/lib/etcd"
ETCD_INITIAL_CLUSTER_STATE="new"
ETCD_INITIAL_CLUSTER_TOKEN="etcd-cluster-01"
ETCD_INITIAL_CLUSTER="controller=http://컨트롤러 노드의 IP:2380"
ETCD_INITIAL_ADVERTISE_PEER_URLS="http://컨트롤러 노드의 IP:2380"
ETCD_ADVERTISE_CLIENT_URLS="http://컨트롤러 노드의 IP:2379"
ETCD_LISTEN_PEER_URLS="http://0.0.0.0:2380"
ETCD_LISTEN_CLIENT_URLS="http://컨트롤러 노드의 IP:2379"
맨 위에 추가

systemctl enable etcd
systemctl restart etcd
'인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| 오픈스택 멀티 노드 설치-Placement (0) | 2024.07.02 |
|---|---|
| 오픈스택 멀티 노드 설치-Glance (0) | 2024.07.02 |
| 오픈스택 멀티노드 설치-사전 구성 (0) | 2024.07.02 |
| 오픈스택 싱글노드 설치 및 vm생성 (0) | 2024.05.29 |
| 테라폼 간단한 개념 및 aws 인스턴스 생성 실습 (0) | 2024.04.17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