인턴

오픈스택 싱글노드 설치 및 vm생성

AhnCloud 2024. 5. 29. 20:46
728x90
 

ESXI 환경에서 Openstack 설치

 

1. OpenStack을 위한 사전 준비

 

가. ESXI 환경 설정


1) 스위치 및 포트 그룹 설정

  • 가상 스위치에서 물리 어댑터 연결 확인 → 해당 스위치에서 오픈스택 서버 생성
 
  • 스위치 보안 설정
 
  • 포트그룹 보안 설정
 

2) 가상머신 생성

  • 싱글 노드이므로 서버 스펙 여유롭게 설정, OS는 Centos7 선택
 
  • 서버 네트워크 설정
 
  • ip static으로 삽입
 
  • Ethernet상태 ON으로 설정
 

2. OpenStack 서버 구축


가. 싱글노드 환경 구성


1) 방화벽 해제

systemctl disable --now NetworkManager
systemctl disable --now firewalld
systemctl enable --now network
 

2) yum 패키지 업데이트

yum update -y
 

3) 이더넷 설정 및 적용

vi /etc/sysconfig/network-scripts/ifcfg-ens192
TYPE=Ethernet
BOOTPROTO=none
NAME=ens192
DEVICE=ens192
ONBOOT=yes
IPADDR=192.168.23.218
NETMASK=255.255.255.0
GATEWAY=192.168.23.1
DNS1=8.8.4.4
DNS2=8.8.8.8
 
systemctl restart network
  • 변경사항 적용
 

4) 오픈스택 설치

yum update -y
yum install -y centos-release-openstack-rocky
yum install -y openstack-packstack
packstack --gen-answer-file /root/answers.txt
sed -i 's/CONFIG_DEFAULT_PASSWORD=.*/CONFIG_DEFAULT_PASSWORD=test1234/' /root/answers.txt
sed -i 's/CONFIG_KEYSTONE_ADMIN_PW=.*/CONFIG_KEYSTONE_ADMIN_PW=test1234/' /root/answers.txt
sed -i 's/CONFIG_CINDER_VOLUMES_SIZE=.*/CONFIG_CINDER_VOLUMES_SIZE=80G/' /root/answers.txt
sed -i 's/CONFIG_NTP_SERVERS=.*/CONFIG_NTP_SERVERS=0.kr.pool.ntp.org/' /root/answers.txt
sed -i 's/CONFIG_HEAT_INSTALL=.*/CONFIG_HEAT_INSTALL=y/' /root/answers.txt
sed -i 's/CONFIG_MANILA_INSTALL=.*/CONFIG_MANILA_INSTALL=y/' /root/answers.txt
sed -i 's/CONFIG_CEILOMETER_INSTALL=.*/CONFIG_CEILOMETER_INSTALL=n/' /root/answers.txt
sed -i 's/CONFIG_AODH_INSTALL=.*/CONFIG_AODH_INSTALL=n/' /root/answers.txt
sed -i 's/CONFIG_LBAAS_INSTALL=.*/CONFIG_LBAAS_INSTALL=y/' /root/answers.txt
sed -i 's/CONFIG_NEUTRON_OVS_BRIDGE_IFACES=.*/CONFIG_NEUTRON_OVS_BRIDGE_IFACES=br-ex:ens192/' /root/answers.txt
sed -i 's/CONFIG_PROVISION_DEMO=.*/CONFIG_PROVISION_DEMO=n/' /root/answers.txt
packstack --answer-file /root/answers.txt
  • 20분정도 소요
 
  • 설치 성공 화면
 

5) OpenStack 관련 관리 도구 설치

yum -y install bash-completion openstack-utils
openstack complete | tee /etc/bash_completion.d/osc.bash_completion > /dev/null
 

6) 오픈스택 인증기한 늘리기

vi /etc/keystone/keystone.conf
 
vi /etc/openstack-dashboard/local_settings
 
 

3. OpenStack 대시보드에서 서버 구축


가. 프로젝트 및 사용자 생성


1) ESXI에서 만든 서버 IP로 오픈스택 서버 진입

  • 사용자 이름: admin, 암호: test1234
 
 

2) 프로젝트 생성

  • 인증 → 프로젝트 클릭
 
 

3) 사용자 생성

  • 인증 → 사용자 클릭
 
 
 

나. 네트워크 환경 구축


1) 외부 네트워크 생성

  • admin 계정 → 관리 → 네트워크 생성
 
 
 
 

2) 네트워크 연결 라우터 생성

로그아웃 후, icloud-1로 로그인→ 네트워크 → 라우터 생성
 
  • 외부 네트워크와 라우터 생성 후 토폴로지
 

3) 내부 네트워크 생성

  • 네트워크 생성 버튼 누르기
 
 
 

4) 내부 네트워크와 라우터 연결

  • 라우터 클릭
 
 
 
  • 네트워크 구축 완료
 

다. 가상머신 생성


1) 보안 그룹 생성

  • 네트워크 → 보안 그룹 클릭
 
  • 보안 그룹 이름 : allow_ssh_and_icmp
 
 
 
  • SSH 접속 허용
 
  • ICMP 허용
 

2) 키페어 생성

 
 
  • 키페어 다운로드 확인
 

3) 이미지 생성

 
 
  • 이미지 생성 버튼 누르고  페이지 새로고침이나 닫기를 누르면 Queued상태 지속되는 버그 발생
 
  • 이미지 생성 확인
 

4) 인스턴스 생성

 
 
 
 
 
  • 유동 IP 연결 클릭(이 때 IP 할당이 불가능하면 프로젝트에 floating IP 할당)
 
 
  • 다운받은 키페어 파일 권한 변경
 
  • SSH 접속